이 글은 제가 과거에 운영했던 사이트인 http://dotnet.mkexdev.net 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그 전에 운영했었던 사이트(mkex.pe.kr)은 흔적도 없이 사라 졌습니다. 그속의 글들도 모두...
그래서 이 사이트도 사라지기 전에 옮기고 싶은 글을 조금씩 이 블로그로 이동시키려 합니다.
(원본글) http://dotnet.mkexdev.net/Article/Content.aspx?parentCategoryID=2&categoryID=27&ID=486
---
원가는 일정과 범위와 더불어 프로젝트의 주요한 3대 제약조건이 된다
원가관리는 일정관리에서 산출된 개별 활동들에 소요되는 원가산정과 이를 집계한 예산 수립,
원가 차이를 분석하고 통제 및 예산 변경을 수행하는 원가통제 프로세스로 이루어진다
* 원가관리 프로세스
원가 산정 -> 원가 예산수립 -> 원가 통제
* 원가 산정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분할된 활동(Activity)들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원가를 추정하여 근사값(산정치)를 산출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원가 산정치는 보통 화폐 단위로 제시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일 인건비와 함께 예상 인원 및 일수로 산정하기도 한다
원가산정을 위한 기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유사 산정(Analogous estimating)
이전의 유사한 프로젝트에서 소요된 원가를 현재 프로젝트 원가산정의 근간으로 이용하는 기법이다
경험을 근간으로 원가를 산정하기 때문에 ‘전문가 판단’의 한 가지 형태이며 유추산정이라고도 한다
또한 큰 그림을 기반으로 세부 항목들의 원가를 산정하게 되므로 하향식 산정(Top-down estimating)이라고도 한다.
많은 정보가 구체화 되기 이전인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며
이전에 아주 유사한 경험이 있거나 전문적 지식을 보유하였을 경우 매우 신뢰할 만한 산정치를 도출할 수 있지만 다른 기법들에 비해 정확성을 덜 할 수 있다
2) 상향식 산정(Bottom-up estimating)
유사 산정(=하향식 산정)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수행해야 할 각 세부 활동들에 대한 원가를 개별적으로 산정한 후 이를 합산하여 산정하는 기법이다
개별 활동에 대한 원가를 일일이 산정하기 때문에 다른 기법에 비해 정확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산정 기준이 되는 개별 활동들의 정확성이 사전에 요구된다
3) 모수 산정(Parametric estimating)
프로젝트 원가를 산정하기 위해 모수(수학적 모형 내에 있는 프로젝트 특성)를 사용하는 기법이다
특히 모수가 계량화 될 수 있을 때 매우 신뢰할만한데 간단한 예를 들어 집 한평(방미터) 인테리어에
100이 들었다면 10평이면 1000이 든다고 추정할 수 있다
4) 원가비율 산정
원가를 산정하는 사람은 시간당 임금, 평방 미터당 원자재 원가 등의 원가 비율의 단위를 알고 있어야 한다. 업체 견적의 경우 비율을 얻는 방법 중 하나이다
통상 위의 산정 기법 중 정확도 순은 다음과 같다
상향식 산정 > 모수 산정 > 하향식 산정
원가산정 과정을 거쳐 ‘활동원가산정치’ 라는 산출물을 도출해야 한다
활동원가산정치에는 원가에 대한 정량적 평가치, 인건비, 재료비, 소모품비, 물가상승충당금 등이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돌발 상황을 대비 할 수 있는 예비비(Reserve)도 고려되어야 한다
* 원가 예산수립
앞서 개별 활동들에 대한 원가산정을 모두 모아 집계하여 원가기준선을 정의하는 과정이다
즉 예산은 활동별 추정원가의 합계이다
종합적인 예산수립 시 돌발상황과 같은 예측하기 힘든 이슈에 사용되어질 비용도 같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예비비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돌발상황충당금(Contingency Allowance)
‘원가산정’ 프로세스에서 정의하도록 한다. 이 비용에 대한 재량권은 PM이 가지고 있다
이 비용은 원가기준선에 포함되며 통상 조직 정책에 따라 금액이 책정된다
2) 관리예비비(Management Reserve)
‘원가 예산수립’ 프로세스에서 정의하도록 한다. 이 비용에 대한 재량권은 고위 경영진에게 있다
이 비용은 원가기준선에 포함되지 않으며 통상 5% 정도의 금액이 책정된다
예산수립 과정을 거쳐 ‘원가기준선’ 이라는 산출물이 도출해야 한다
원가기준선은 원가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고 감시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별 예산을 기록하며
기간에 따른 누적 비용을 그리는데 보통 S 곡선 형태를 띄게 된다
* 참고
1. 원가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희생해야 하는 자원의 화폐적 가치
2. 원가의 유형
1) 원가 할당 방법에 따른 분류
- 직접비: 원가 발생 이유를 직접적으로 추적(tracing)할 수 있는 원가
ex) 급여, 출장비, 인센티브 등
- 간접비: 원가 발생 이유를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는 원가
ex) 관리비(전기세, 세금 등)
2) 조업도 변화에 따른 원가 형태
- 고정비: 조업도 수준과 무관하게 원가가 일정하게 발생하는 원가
ex) 프로젝트 착수 비용 등
- 변동비: 조업도에 따라 비례하여 발생하는 원가
ex) 재료비, 인건비 등
3. 기회원가란
특정 대안을 선택했기 때문에 포기한 다른 대안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효익
'프로젝트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품질관리 - 품질기획 (0) | 2023.10.25 |
---|---|
[PMP] 원가관리 - 원가통제 (0) | 2023.10.25 |
[PMP] 범위관리 (0) | 2023.10.25 |
[PMP] 의사소통관리 (0) | 2023.10.24 |
[PMP] 인적자원관리 - 갈등관리 (0)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