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검색결과, 1

  1. 초등 고전읽기 혁명 2011.10.02 (2)

초등 고전읽기 혁명

Posted in BookLog // Posted at 2011. 10. 2. 21:09


송재환 지음 | 글담출판사

형이 보내 준 세 권의 책 중 마지막으로 읽은 책이다.
이 세 권의 책을 통해 독서라는 활동에 대해 보다 깊이 사색하게 되었고 특히 고전 독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새롭고도 강하게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은 고전의 필요성을 초등학생들의 교육과 연관지어서 설명하고 있다.
고전의 중요성을 말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두 번째로 읽은 책인 '리딩으로 리드하라'와 큰 맥락을 같이 한다.

이 책의 저자인 송재환씨는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중이며 실제로 본인의 학교에서 전학년을 대상으로 고전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훌륭한 교사이다.

책의 내용 중 실제 초등학생들이 고전을 읽고 작성한 독후감이나 일기의 일부를 소개하는 글이 몇 군데 있다.
어린 줄로만 알았던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그 글들에서 또래 답지 않은 통찰력과 자기반성 그리고 문장력을 보고 고전 교육의 가능성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이것은 나에게 굉장히 고무적인 일이다. 뭔가 잡을 수 있을 것만 같은 가능성과 희망을 보았기 때문이다.
물론 고전을 읽히기만 하면 아주 특별하고 훌륭한 교육이 된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다만 수준에 맞고 적절한 고전 교육을 초등학생때부터 병행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장점이 많을 것 같다는 점에서 큰 공감을 한다. 단순히 지식이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인성, 가치관, 자존감, 배려심, 통찰력, 사고력이 좋아진다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지혜로운 어른으로 성장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책에서는 제대로 된 고전 교육을 위해 여러 측면에서 가이드라이는 제시하고 있다.

고전을 대하는 부모들의 제대로된 마음가짐과 교육방식을 안내하고 아이들 수준에 맞는 고전 교육의 예를 제시한다. 실제 고전을 접하기 전에 고전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깨닫게 해준 책과 저자에게 무한한 감사의 말을 전하고 싶다.

사실 오늘 서점으로 달려 가서 사마천의 '사기본기'를 사 들고 왔다. ㅎㅎㅎ

다독과 속독에 치우친 독서 습관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책을 흡입하듯 읽어 치우는 아이들은 한 권의 책을 읽어 가면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을 만끽하기도 전에 책장을 덮어 버린다.... 독서는 얼마나 빨리 그리고 많이 읽었느냐가 아니라 무슨 책을 어떻게 읽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어렸을 때부터 가급적 한 권의 책이라도 정독하는 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치관의 뼈대를 만드는 시기는 초등학교 때이며 이때 가장 좋은 방법은 고전 읽기이다.

고전을 읽은 사람들은 인생의 터닝포인트나 새로운 기회를 발견할 확률이 높다.

문학 고전은 인간의 마음에 대해 알려 주고, 철학 고전은 인간의 생각을 가르쳐 준다. 그리고 역사 고전은 인간의 의 패턴을 소개한다.

"나의 지적 능력은 평균 이하로 이 그싱은 결코 아니었다. 평범한 지적 능력, 평범한 신체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가 받았던 고전 읽기 교육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
- 존 스튜어트 밀의 자서전 중

"사랑에 빠져서 연애편지를 읽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읽는다. 그들은 단어 하나하나를 세 가지 방식으로 읽는다. 행간을 읽고 여백을 읽는다. 부분적인 관점에서 전체를 읽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부분을 읽는다. 문맥과 애매함에 민감해지고 암시와 함축에 예민해진다. 말의 색채와 문장의 냄새와 절의 무게를 곧 알아차린다. 심지어 구두점까지도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하려 애쓴다."
- 미국의 유명한 철학자(교육자)인 모티머 J. 애들러

(고전 역시 단순히 글을 읽는 것이 아닌 연애 편지와 같이 온몬으로 느끼며 읽어야 한다는 중요성을 말하기 위한 대목이다. 아.. 정말이지 어떻게 이런 매우 적절한 표현을 했을까... 존경스럽다...

괴테의 어머니는 밤마다 책을 읽어 주면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에서 "아가야, 그 다음은 네가 완성해 보려므나."하고 권했다고 한다. 그러면 어린 괴테는 그 이야기를 완성하기 위해 생각에 잠겼다. 이런 상상 습관은 그가 독일 최고의 문호가 되는 밑바탕이 되었다.

'Book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을 돌파하는 사람, 돌파하지 못하는 사람  (0) 2013.06.25
위대한 나  (0) 2013.06.21
리얼 라이프  (0) 2013.06.10
리딩으로 리드하라  (0) 2011.10.01
독서 천재가된 홍대리  (0) 2011.10.01